주간 테마

라이프스타일
Upper Intermediate
Jeong Se-gwon and the Urban Hanok / 정세권과 도시형 한옥

One of the most popular tourist destinations in Seoul is undoubtedly Bukchon Hanok Village. The word "hanok” refers to traditional Korean houses. Today, I’d like to share an interesting story about a hanok village located right in the heart of modern Seoul.

서울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는 북촌 한옥마을일 것이다. ‘한옥’은 한국의 전통 가옥을 의미한다.

오늘은 초현대적인 도시 서울의 중심에 자리잡은 한옥 마을에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한다.



단어장

양반 「명사」 [양ː반 ] 1. [yangban] (archaic) A member of the ruling class. 2. [gentleman] A dignified and polite person. 3. [husband] The word that a woman uses to refer to her husband when talking to others. 4. [sir; mister; dude] The honorific or addressee-lowering form that is used to call a man. 5. [breeze; nothing] (figurative) A good state or condition.
관료 「명사」 [괄료 ] 1. [bureaucrat; official; civil servant] A government official that has political influence.
심화되다 「동사」 [심ː화되다/심ː화뒈다 ] 1. [deepen] To become further in degree or stage.
고안하다 「동사」 [고안하다 ] 1. [design; invent; create] To devise a new object, method, plan, etc., through research.
자리(를) 잡다 「동사」 [iljeonghan jiwina gong-gan-eul chajihada] 1. [settled down] He/She settled down in that neighborhood.
분할하다 「동사」 [분할하다 ] 1. [divide; partition] To divide something into several parts.

기사 본문

서울 종로구 가회동 일대는 ‘북촌’이라 불린다. 북촌은 과거 양반들이 모여 살던 동네로, 조선시대 고위 관료들의 대저택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가 조선을 지배하기 시작하면서 몰락한 조선의 관리들은 북촌을 떠나게 되었다.

한편, 당시 경성(지금의 서울)에서는 인구 증가로 인해 주택난이 심화되고 있었다. 이때 경남 고성 출신의 부동산 개발업자 정세권이 등장하였다. 그는 북촌 일대의 대저택들을 소형화하여, 오늘날의 ‘도시형 한옥’이라는 새로운 주거 형태를 고안해냈다.

전통 한옥은 넓은 정원과 여러 채의 건물로 이루어진 구조였지만, 정세권이 설계한 도시형 한옥은 ‘ㄷ’자 또는 ‘ㅁ’자 형태로 가옥을 연결하여 동선을 최소화하고, 가운데에 거실을 배치한 소규모 주택 구조였다. 정원의 크기도 줄어들었으며, 실용성을 강조한 구조로 변화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한옥 대부분은 바로 이 도시형 한옥에 해당한다. 고래등 같은 대규모 한옥 대신 여러 채의 소형 한옥이 들어서면서, 서민들도 북촌 일대에 자리를 잡고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정세권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집을 가질 수 있도록, 주택 매매 비용을 분할하여 갚을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는 등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다. 그는 익선동을 시작으로 북촌, 혜화동, 서대문, 왕십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한옥을 건축하였다.

'조선의 건축왕'이라 불릴 만큼 큰 부를 축적했던 정세권은 조선 독립운동을 지원한 혐의로 일제에 체포되었고, 그의 재산은 몰수되었다.

북촌 한옥마을을 방문하게 된다면, 이 조용한 골목에 숨겨진 정세권의 이야기를 떠올려 보길 바란다.


The area around Gahoe-dong in Jongno-gu, Seoul, is known as Bukchon. In the past, Bukchon was a neighborhood where members of the yangban (aristocracy) lived. During the Joseon Dynasty, high-ranking officials resided here in large traditional estates. However, when Japanese colonial rule over Korea began, the officials of the declining Joseon dynasty were forced to leave Bukchon.

At the same time, population growth in Gyeongseong (the name for Seoul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led to a serious housing shortage.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Jeong Se-gwon, a real estate developer from Goseong, Gyeongsangnam-do, rose to prominence.

Jeong Se-gwon devised a new form of housing known today as the “urban hanok” by downsizing the large traditional homes in Bukchon. Whereas the traditional hanok was composed of several buildings spread out over spacious gardens, Jeong’s urban hanok was a compact home arranged in “ㄷ” (U-shaped) or “ㅁ” (square-shaped) layouts to minimize movement within the house. These new hanok featured smaller gardens and centralized living rooms.

Most hanoks we see today are examples of the urban hanok model developed by Jeong Se-gwon. As large estates were replaced with multiple small houses, working-class people were able to settle in hanok villages throughout the Bukchon area.

To help those who could not afford to pay up front for housing, Jeong introduced installment plans so that homes could be paid for over time. Starting with Ikseon-dong, he went on to build hanoks across Bukchon, Hyehwa-dong, Seodaemun, and even Wangsimni.

Known as the “Architectural King of Joseon,” Jeong Se-gwon accumulated great wealth. However, he was arrested by the Japanese authorities for allegedly supporting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his assets were confiscated.

If you ever visit Bukchon Hanok Village, take a moment to remember the legacy of Jeong Se-gwon that is hidden in the quiet alle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