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imated series K-pop Demon Hunters, currently streaming on Netflix, is creating a global sensation. Although there were many concerns about its potential success when it was first announced, it is now receiving high praise for its quality and continues to amass popularity.
Many initially assumed the show was a hastily made product riding on the coattails of K-pop’s popularity, but it has garnered attention for its high quality and originality. The natural incorporation of traditional Korean sensibilities, in particular, is cited as a key factor behind its success.
So what traditional Korean elements are hidden within K-pop Demon Hunters?
넷플릭스에서 방영 중인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적인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제작 발표 당시만 해도 흥행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았지만, 현재는 작품성에 대한 호평과 함께 폭발적인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많은 이들이 이 작품을 단순히 K-POP의 인기에 편승한 급조된 콘텐츠로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높은 완성도와 독창적인 설정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작품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든 한국의 전통적 감성이 흥행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과연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는 어떤 한국적인 장치들이 숨어 있을까?
단어장
기사 본문
이 작품의 주된 플롯은 세계적인 K-POP 그룹 ‘헌트릭스’가, 인간의 영혼을 빼앗기 위해 K-POP 아이돌로 위장한 악령 ‘사자 보이스’로부터 팬들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다. 이야기의 전반에는 한국 고유의 무속 신앙이 짙게 깔려 있다.
‘사자 보이스’의 본모습은 저승사자, 도깨비, 그리고 다양한 한국 토종 귀신들의 특성이 혼합된 형태로 보인다. 저승사자는 죽은 자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존재로, 일반적으로 검은 한복에 갓을 쓰고 창백한 얼굴과 무서운 표정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한국에서는 무섭고 두려운 존재를 저승사자에 비유하는 문화도 있다.
작품 속 ‘사자 보이스’의 멤버 진우를 따라다니는 호랑이 ‘더피’와 세 개의 눈을 가진 까치는 귀여운 이미지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호랑이 ‘더피’는 관련 굿즈 판매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한국의 민화 ‘작호도(鵲虎圖)’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다. 작호도는 호랑이와 까치가 함께 등장하는 민화로, 호랑이가 무섭기보다는 우스꽝스럽게 그려지는 것이 특징이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인기에 힘입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작호도의 관람객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박물관 기념품 매장에서도 작호도 관련 상품이 매진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헌트릭스 멤버들은 노리개를 장신구로 착용하고 있다. 노리개는 옛날 여성들이 즐겨 사용하던 장식품으로, 호박이나 옥 같은 보석과 전통 매듭을 엮어 만든 장신구다. 작품 속에서 헌트릭스는 단순한 아이돌이 아니라 악령을 물리치는 퇴마사의 역할도 맡고 있으며, 이때 사인검 등 한국의 전통 무기를 사용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공연 배경으로는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가 등장하기도 한다. 일월오봉도는 해와 달, 다섯 개의 산봉우리, 소나무와 물이 어우러진 그림으로, 전통적으로 왕의 권위를 상징하며 궁궐의 정전 뒤편에 배치되었다.
최근에는 실제 K-POP 아이돌들이 경복궁 등 고궁에서 공연을 하거나, 전통적인 소품과 의상을 무대에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국내외 젊은 세대 사이에서 한국의 전통미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이러한 전통 요소를 억지스럽지 않게 자연스럽게 작품에 녹여낸 점이 성공 요인 중 하나로 평가된다.
이 외에도 작품 속에는 한국인의 일상 생활이나 전통 건축물 등 다양한 한국적 요소들이 곳곳에 숨어 있으며, 이는 다음 기회에 함께 살펴보도록 하자.
The main plot revolves around the world-famous K-pop group “HUNTRIX,” who struggle to protect their fans from evil spirits disguised as K-pop idols known as “Saja Boys”. Throughout the story, the strong influences of Korea’s indigenous shamanistic beliefs are evident.
The true forms of the “Saja Boys” characters appear to be a mix of the 저승사자 [jeoseung-saja] (grim reapers), 도깨비 [dokkaebi] (goblins), and various traditional Korean ghosts. A jeoseung-saja is a being that guides the souls of the dead to the afterlife and is typically depicted wearing a black hanbok with a traditional 갓 [gat] (hat), with a pale face and a frightening expression. In Korea, terrifying beings are often compared to these reapers.
Two characters that follow the “Saja Boys” member Jin-woo — a tiger named Duffy and a magpie with three eyes — have gained popularity for their cute designs. In particular, Duffy the tiger has become a hit in terms of merchandise sales. These characters are inspired by the traditional Korean folk painting Jakho-do (작호도, 鵲虎圖), which depicts a tiger and a magpie together. In Jakho-do, the tiger is often portrayed not fearsomely but comically, with exaggerated and humorous features.
Thanks to the show’s popularity,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Jakho-do exhibit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increased, and related merchandise at the museum gift shop has been selling out.
Additionally, the members of HUNTRIX wear 노리개 [norigae], a type of traditional ornamental pendant that women used to wear, made of semi-precious stones like amber or jade and decorated with traditional knots. In the show, HUNTRIX are not just idol stars but also exorcists who defeat demons, and several scenes feature them using traditional Korean weapons such as the 사인검 [saingeom] (four-symbol sword).
The backdrop of some performances includes Irworobongdo (일월오봉도, 日月五峯圖), a traditional Korean screen painting featuring the sun, moon, five mountain peaks, pine trees, and water. This artwork historically symbolizes royal authority and was typically placed behind the king’s throne in the main halls of palaces.
In recent years, real K-pop idols have increasingly held performances at historic palaces such as Gyeongbokgung, incorporating traditional props and costumes on stage. This trend has helped spark interest in Korea’s traditional aesthetics among younger generations both at home and abroad.
One of the key reasons for the success of K-pop Demon Hunters is its seamless and natural integr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which are never forcibly or artificially included.
Beyond these, the show also includes various aspects of Korean daily life and traditional architecture hidden throughout its scenes — topics that we will explore in future discu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