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테마

라이프스타일
Advanced
The Story of Buldak-bokkeum-myeon and Korea’s First Instant 라면(Ramyeon)/ 불닭볶음면과 한국 최초의 라면 이야기

According to the U.S. economic media outlet Bloomberg, the economic value of Samyang Foods' Buldak-bokkeum-myeon (Hot Chicken Flavor 라면) has reached a staggering 8 billion dollars. Shuli Ren, Bloomberg’s Asia columnist, attributes this to “the explosive love of young Americans” for the product (July 9, 2025).

In fact, Buldak-bokkeum-myeon has recorded tremendous sales not only in the U.S. but around the world. Many other Korean instant 라면 products are also becoming very popular overseas.

Today, let’s take a look at Korean 라면, a food which has captured the taste buds of people across the globe.


미국의 경제 매체 블룸버그에 따르면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의 경제적 가치가 무려 80억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블룸버그 아시아 담당 칼럼니스트 Shuli Ren미국 젊은이들의 불닭볶음면에 대한 폭발적인 사랑을 그 이유로 꼽고 있다(2025.7.9).

실제로 불닭볶음면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불닭볶음면뿐 아니라 다양한 한국 인스턴트 라면들도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오늘은 이렇게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한국 라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



단어장

달하다 「동사」 [달하다 ] 1. [reach] To reach a certain amount, level, number, state, degree, etc. 2. [accomplish; achieve] To accomplish a purpose or goal.
거머쥐다 「동사」 [거머쥐다 ] 1. [hold; seize; grab] To hold something tightly in one's hand. 2. [take; seize; win] To possess or dominate something completely.
1 「명사」 [끼 ] 1. [meal] A meal consumed at a set time each day, such as breakfast, lunch, or dinner. 2. [meal] The unit of counting meals in a day.
효시 「명사」 [효시 ] 1. [start; outset; root; source] (figurative) The beginning of an important event, task, or phenomenon.
분리하다 「동사」 [불리하다 ] 1. [separate; divide] To divide and separate things.
응원하다 「동사」 [응ː원하다 ] 1. [cheer] In a sports game, etc., to encourage players by singing, clapping, etc. 2. [support] To encourage or help someone better perform, next to him/her.
칼칼하다 「형용사」 [칼칼하다 ] 1. [thirsty] Having a desire to drink water, an alcoholic drink, etc., due to one's thirst. 2. [husky] One's voice sounding slightly rough and hoarse. 3. [hot] It has a slightly spicy or gritty taste that irritates the throat.
구현하다 「동사」 [구현하다 ] 1. [give shape to; embody; incarnate] To make an idea, thought, plan, etc., appear in a concrete form.

기사 본문

1986년 아시안게임 육상 종목에서 무려 금메달 3개를 따내며 국민적인 사랑을 받은 임춘애 선수가 있다. 유난히 마르고 가냘펐던 그녀가 가난한 집안 사정 때문에 라면을 자주 먹었다는 보도가 나오며, ‘라면 소녀’라는 별명까지 얻게 되었다.

물론, 그녀가 라면밖에 먹지 못할 정도로 극심하게 가난했다는 보도는 다소 과장된 면이 있었지만, 어려운 형편에서 자란 것은 사실이었다.

오늘날 라면은 하나의 기호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예전 한국에서는 가난한 사람들의 한 끼 식사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이는 무엇보다도 저렴한 가격 때문이었다.

한국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은 바로 불닭볶음면을 탄생시킨 삼양식품에서 만든 삼양라면이다.

삼양식품의 창업주 전중윤 회장은 한국전쟁 이후 가난한 사람들이 ‘꿀꿀이죽’이라 불리는 음식을 먹기 위해 줄을 서 있는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꿀꿀이죽’은 미군 부대에서 나온 잔반을 끓여 만든 음식이었으며, 아이러니하게도 훗날 ‘부대찌개’의 원형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부대찌개’ 역시 현재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한국 음식이다.

전중윤 회장은 일본의 인스턴트 라면을 한국에 도입하면 가난한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하고, 일본의 라면 제조사인 묘조식품을 찾아갔다. 묘조식품은 라면과 수프를 최초로 분리 포장한 기업이었다.

묘조식품의 사장은 전중윤 회장의 진심에 감동하여 무상으로 라면 제조 기술을 지원해주기로 했고, 이에 따라 1963년, 한국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인 삼양라면이 세상에 등장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일본식 닭고기 육수 베이스였지만, 삼양식품은 곧 한국인들의 입맛에 맞게 소고기 육수로 바꾸고,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칼칼한 맛을 내기 위해 고춧가루를 수프에 첨가하였다.

이러한 현지화 전략 덕분에 삼양라면은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이후 농심의 신라면이 등장하며 시장을 주도하게 되었고, 오뚜기의 진라면 역시 점유율을 넓히면서 삼양식품은 한때 3위까지 밀려나기도 했다.

그러나 해외 수출을 통해 돌파구를 찾던 중 불닭볶음면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게 되며 삼양식품은 새로운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특히 해외 SNS를 중심으로 ‘불닭볶음면 챌린지’가 유행하면서 전 세계 젊은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했고, 까르보불닭 등 다양한 변형 제품들 또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불닭볶음면이 촉발한 K-라면 열풍은 한국 라면 전체의 위상을 끌어올렸다.

가난했던 시절, 배고픈 사람들의 한 끼를 책임지던 라면은 지금도 여전히 한국인의 영원한 소울푸드이다.

다음에는 더 다양한 한국 라면 이야기로 찾아오겠다.


There was an athlete named Im Chun-ae who won three gold medals in track and field at the 1986 Asian Games and earned nationwide attention in Korea. She was particularly thin and frail, and a report revealed that she frequently ate ramen due to her family’s difficult financial situation, earning her the nickname “라면 Girl.”

Of course, the claim that she was so poor that she could only afford 라면 was somewhat exaggerated, but it was true that she came from a humble background.

While 라면 is now viewed as a comfort or snack food, in the past it was strongly associated in Korea with the working class—mainly because of its affordability.

Korea’s first instant 라면 was Samyang 라면, produced by none other than Samyang Foods—the same company that created Buldak-bokkeum-myeon.

Samyang’s founder, Chairman Jeon Jung-yoon, was reportedly shocked after witnessing people lining up to eat kkulkkuli-juk, a gruel made from the leftovers of U.S. military bases after the Korean War. Ironically, this dish would later evolve into what is now known as budae-jjigae (army stew), which has also become a globally recognized Korean dish.

Believing that introducing Japanese-style instant 라면 to Korea could genuinely help the impoverished, Chairman Jeon visited Myojo Foods, a Japanese company known for being the first to separately package noodles and soup powder.

Moved by Jeon’s sincerity, the president of Myojo Foods agreed to provide the ramen manufacturing technology free of charge. As a result, in 1963, Samyang 라면—Korea’s first instant 라면—was born.

Though it initially used a Japanese-style chicken broth, Samyang soon adapted a flavor to suit Korean tastes by switching to a beef broth and adding red pepper powder to the soup base to create a spicy kick that Koreans love.

This localization strategy led to the rapid popularity of Samyang 라면.

Later, Shin 라면 by Nongshim took the lead in the market, and Jin 라면 by Ottogi also increased its share, pushing Samyang down to third place at one point.

However, while seeking breakthroughs through overseas exports, Buldak-bokkeum-myeon gained massive international popularity, ushering in a new golden era for Samyang Foods.

The global “Buldak Challenge” trend on social media hassparked the curiosity of young people worldwide. Variants such as Carbo Buldak have also become huge hits.

The Buldak-bokkeum-myeon craze helped elevate the status of all Korean 라면 brands on the global stage.

Once a humble meal for the hungry during difficult times, 라면 remains a beloved soul food for Koreans to this day.

We’ll return next time with more stories about the rich world of Korean 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