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사람들은 어떻게 일상을 보냈을까? 현대인들의 이러한 호기심은 역사적 유적이나 기록물을 통해 충족되곤 한다. 라스코 동굴 벽화나 폼페이 유적은 당시 생활상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소설과 같은 문학 작품도 과거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되지만, 특히 풍속화는 당대 사람들의 일상을 거울처럼 담아낸다. 네덜란드의 화가 피터 브뤼헐이나 일본 우키요에 거장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작품은 그 시대 민중의 삶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한국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풍속화가는 김홍도와 신윤복이다. 조선 후기에 활동한 두 화가는 그림 속 인물 설정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김홍도가 서민들의 일상을 주로 묘사했다면, 신윤복은 도시의 양반가 사람들과 기생을 그림의 주인공으로 삼았다. 오늘은 이 두 거장 가운데, 혜원 신윤복의 작품 속으로 들어가 보자.
How did people in the past go about their daily lives? Modern people often satisfy their curiosity through historical sites and records. The Lascaux cave paintings and the ruins of Pompeii are good examples that vividly reveal the lifestyles of those times.
Literary works such as novels can also serve as important clues when trying to understand past lives, but genre paintings in particular reflect everyday life like a mirror. The works of Dutch painter Pieter Bruegel and Japanese ukiyo-e master Katsushika Hokusai capture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in their eras with striking clarity.
For Koreans, the most familiar genre painters are Kim Hong-do and Shin Yun-bok. Both were activ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yet the subjects they respectively depicted stand in sharp contrast. Kim Hong-do primarily portrayed the lives of commoners, while Shin Yun-bok placed city aristocrats and courtesans at the center of his art. Today, let us step into the world of Hye-won Shin Yun-bok.
단어장
기사 본문
신윤복은 도화서의 화원이었으며, 집안 대대로 화공을 이어온 가문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 역시 이름난 화가였다. 그러나 뛰어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신윤복은 결국 도화서에서 쫓겨났다고 전해진다. 그 이유는 그의 그림 주제와 관련이 있다.
조선 시대 도화서는 왕실의 초상화나 궁중 행사에 필요한 그림을 제작하는 관청이었다. 하지만 신윤복은 여성들을 작품의 중심에 두었다. 양반가 여성뿐 아니라 서민 여성과 기생들도 즐겨 그렸다. 그의 그림 속 여성들은 당대 사회에서 금기시되던 행동들을 하고 있다. 남성과 몰래 밀회를 즐기거나, 화려하게 치장하고 외출을 하며, 경치 좋은 곳에서 남성과 유흥을 즐기기도 했다. 때로는 남녀 간의 은밀하고 선정적인 모습도 담겼다.
신윤복의 작품에서 여성 주인공은 주로 서민과 기생이었다. 이들은 양반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행동이 가능했다. 또 하나의 특징은 작품 속 남성들의 모습이다. 대체로 양반으로 등장하는 남성들은 술에 취해 추태를 부리거나 기생을 희롱하고, 어두운 밤 은밀한 밀회를 즐기는 등 품행이 반듯하지 않다. 겉으로는 고고한 척하지만 실제로는 향락에 빠져 있던 양반층의 위선을 신윤복은 그림을 통해 날카롭게 풍자한 것이다.
선정적인 화풍 때문에 신윤복은 비판을 받았고, 도화서에서 쫓겨났다고 전해진다. 그 이후 신윤복의 행적은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 작품 또한 많이 남아 있지 않다. 그나마 오늘날 우리가 신윤복의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것은 문화재 수집가 전형필의 노고 덕분이다. 그는 1938년 사재를 들여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박물관인 간송미술관을 설립하고, 수많은 문화재를 지켜냈다. 일제시대 일본으로 유출된 신윤복의 풍속화첩을 되찾아온 것도, 한국전쟁 속에서도 작품을 지켜낸 것도 전형필이었다.
오늘날 간송미술관에서는 신윤복의 대표작인 <미인도>를 비롯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다만 신윤복 특별전이 열릴 때는 오픈런을 감수해야 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특히 조선 후기 여성들의 복식과 장신구에 관심이 있다면, 신윤복의 그림은 반드시 감상해 볼 만하다.
신윤복의 작품을 바라보며, 변화를 갈망하고 자유로운 시선을 담으려 했던 조선 후기의 화가 신윤복을 떠올려 보자.
Shin Yun-bok was a court painter at the Royal Bureau of Painting, and he came from a family of painters who had passed down the craft for generations. His father, too, was a renowned artist. However, despite his exceptional talent, Shin Yun-bok was eventually expelled from the bureau—reportedly because of the themes of his work.
The Royal Bureau of Painting in Joseon was responsible for producing portraits of kings and official paintings of court events. Yet Shin Yun-bok placed women at the heart of his art. He delighted in painting not only aristocratic women but also common women and courtesans. The women in his paintings often engaged in actions that were considered taboo at the time—secretly meeting men, adorning themselves in splendor before going out, or enjoying amusements with men in scenic places. At times, he even depicted intimate and sensual encounters.
The main female figures in his paintings were usually commoners or courtesans, who enjoyed relatively more freedom in their activities than noblewomen. Another striking feature lies in how he portrayed men. Mostly appearing as aristocrats, they are shown drunk and behaving foolishly, harassing courtesans, or indulging in secret affairs under the cover of night. By depicting them this way, Shin Yun-bok satirized the hypocrisy of the aristocratic class, who projected dignity while privately succumbing to decadence and pleasure.
Because of his sensual style, Shin Yun-bok was criticized and, according to accounts, expelled from the bureau. His later life remains largely unknown, and only a limited number of his works survive. That we can still appreciate Shin Yun-bok’s art today is thanks to cultural heritage collector Jeon Hyeong-pil. In 1938, Jeon established Korea’s first private museum, the Kansong Art Museum, with his own fortune, preserving countless cultural treasures. It was Jeon himself who reclaimed Shin Yun-bok’s genre paintings that had been taken to Japan during the colonial era, and who safeguarded them even through the ravages of the Korean War.
Today, visitors to the Kansong Art Museum can admire Shin Yun-bok’s masterpieces, including Portrait of a Beauty. However, when a special Shin Yun-bok exhibition is held, it is so popular that people must endure long lines from the early hours. For those interested in the attire and accessories of late Joseon women, his paintings are particularly worth viewing.
Looking at Shin Yun-bok’s art, we are reminded of a late Joseon painter who longed for change and sought to capture the world with a freer gaze.